KOR
(광주=연합뉴스) 천정인 기자 = 김광동 진실화해위원회 위원장이 공개석상에서 5&middot;18 민주화운동에 북한군이 개입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시각을 드러낸 것을 두고 5&middot;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(이하 5&middot;18 조사위)가 &quot;사실이 아니라고 결론 난 사안&quot;이라고 일축했다.<br /><br />5&middot;18 조사위는 14일 낸 입장문에서 &quot;김 위원장이 언급한 &#39;헬기 사격&#39; 문제 등은 우리 위원회에서 조사하고 있고 그 결과 또한 우리 위원회에서 결론짓는다&quot;고 밝혔다.<br /><br />이어 &quot;조사위는 지난해 5월 12일 대국민보고회를 통해 북한군 침투설은 사실이 아니라고 발표했다&quot;고 강조했다.<br /><br />당시 조사위는 &#39;일부 탈북자들이 제기한 북한특수군 침투 주장은 국내외 각종 기록조사와 대면조사로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&#39;고 &#39;국정원도 이미 이런 주장에 신뢰성이 낮다고 평가했으며 미국 정보기관도 북한군 침투는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&#39;고 밝힌 바 있다.<br /><br />조사위는 김광동 위원장이 언급한 5&middot;18 헬기 사격 문제에 대해서도 &quot;국방부 특별조사위원회가 헬기 사격은 존재했다는 결과를 발표했고, 2020년 법원도 국과수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헬기 사격을 인정할 수 있다는 판결을 했다&quot;고 지적했다.<br /><br />이어 &quot;지난 43년간 정치적&middot;사회적 논쟁과 의혹이 반복돼 국론분열의 요인으로 작용했던 5&middot;18의 진실을 철저히 규명하고 있다&quot;며 &quot;모든 편견과 선입견을 배제하고 사실과 객관적 증거에 따라 진실을 밝히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&quot;고 말했다.<br /><br />원문보기:&nbsp;https://www.yna.co.kr/view/AKR20230314148700054?input=1195m
국립 5&middot;18 민주묘지 관리소는 3월의 5&middot;18민주유공자로 고(故) 이방기 교수를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.<br /><br />이 교수는 1934년 9월13일생으로 전남대학교 재직 시절 &lsquo;우리의 교육지표&rsquo;를 선언한 주역 중 한 사람이다.<br /><br />당시 이 교수는 유신체제 아래 국가주의적 교육사상인 국민교육헌장을 비판, 고 송기숙 교수 등과 함께 우리의 교육지표를 선언했다.<br /><br />이 선언은 훗날 대한민국 민주화운동의 불씨를 당겼다는 평가를 받는다.<br /><br />5&middot;18민주화운동 직전에는 광주 대학생들이 연 민족민주대성회에 참여, 대형 태극기를 앞세우고 가두시위를 벌이는데 동참했다. 이후 보안사로 연행된 그는 상무대로 끌려나 구금생활을 했다가 풀려났다.<br /><br />이 교수는 5&middot;18진상규명을 촉구하며 50여일 동안 옥중 단식 농성을 벌이다 숨진 고(故) 박관현 열사에게 명예졸업증서를 수여하기도 했다.<br /><br />이 열사는 국립5&middot;18민주묘지 제1묘역 6-6번에 안장돼 있다.<br /><br />국립5&middot;18민주묘지관리소 관계자는 &ldquo;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추모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펼치겠다&rdquo;고 밝혔다.<br /><br />한편, 국립5&middot;18민주묘지관리소는 5&middot;18민주유공자들의 숭고한 희생과 공헌을 재조명하여 5&middot;18민주화운동의 가치를 대내외에 홍보하고자 매달 이달의 5&middot;18민주유공자를 선정하고 있다<br /><br />원문보기:http://www.jnilbo.com/69850211143
[광주=뉴시스]이영주 기자 = 5&middot;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(조사위)가 지난해 하반기 광주 북구 각화동 옛 광주교도소 건너편에서 무연고자 유해를 발견했다.<br /><br />조사위는 발견 유골을 대상으로 행불자 가족 유전자 대조 작업에 나선 한편 암매장을 지시하거나 실행, 목격했다는 당시 계엄군 다수 증언과 현장동행을 토대로 조사 범위를 넓히고 있다.<br /><br />조사위는 28일 2022년 하반기 조사활동보고서를 발표하고 지난해 하반기 진행된 암매장 제보 발굴 사례를 밝혔다.<br /><br />앞서 조사위는 지난해 옛 3공수여단 소속 장병&middot;하급 간부 820여 명과 접촉, 350여 명으로부터 암매장과 관련한 증언을 받아냈다.<br /><br />조사위는 이중 57명의 증언을 추려 옛 광주교도소 일원 7곳에서 지표조사를 벌였다. 이들은 직접 매장을 지시&middot;실행(9명)했거나 매장을 목격(13명), 매장 사실을 들었던 자(35명)들이다.<br /><br />증언을 토대로 조사를 벌인 결과 현재 각화동 광주화물터미널이 들어선 곳 주변 야산에서 신원 미상의 무연고 유해 1구가 발견됐다.<br /><br />조사위는 해당 유해에 대해 용역기관에 유전자 검사를 의뢰한 상태다. 조사위는 유전자 검사 결과를 행방불명자 가족 417명 전체와 모두 비교한 뒤 신원을 확인하고 5&middot;18민주화운동과의 연관성 여부를 확정할 방침이다.<br /><br />조사위는 이와 함께 광주시와 5&middot;18기념재단으로부터 이관받은 53개 암매장 제보 현장에 대한 선행조사를 하고 있다. 이중 중복 제보 내용을 제외한 30개 현장에 대한 발굴타당성 연구용역을 거치고 있다.<br /><br />조사위는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암매장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장소를 추린 뒤 오는 6월부터 유해 발굴과 수습에 나설 방침이다.<br /><br />조사위가 이미 확보한 290여개 유해에 대해서도 유전자 검사가 진행 중이다. 유해들은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자 공동묘지(261기)를 비롯, 전남 영암군 한 공동묘지(6기)와 해남군 군부대 주변(2기) 등 총 8곳에서 출토됐다.&nbsp;<br /><br />조사위는 발굴된 유해들을 대상으로 기존 직계 가족 유전자 확인이 가능한 STR 분석 기법과 방계까지 조사 범위를 넓힌 SNP 방식을 도입해 신원을 확인, 교차검증하고 있다.<br /><br />계엄군의 사체처리반 운용 여부에 대해서도 확인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. 조사위의 지표조사 대상이었던 7곳 중 유해가 발견된 곳 1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지형지물이 크게 변한 상태였다.<br /><br />조사위는 이에따라 최초 암매장 장소에서 유해가 수습돼 옮겨졌을 것으로 보고 전투교육사령부와 20사단, 31사단 등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.<br /><br />전남 한 지자체가 계엄군을 지원했다는 진술도 나와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. 5월 22일 오후 6시 30분 계엄군이 민간인 소유의 2.5t 트럭에 총격을 가한 뒤 이를 화순 방면 너릿재터널 출구 봉쇄물로 삼았다는 기록이 있다.<br /><br />이 트럭이 민간인의 것이며 당시 인명피해는 없었다고 전해져오나 최근 해당 트럭이 화순군에서 계엄군을 지원하기 위해 투입한 것이었다는 진술이 나와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.<br /><br />이밖에 조사위는 &nbsp;5&middot;18 당시 투입된 대대장급 이상 군인 27명에 대한 조사를 지난해 12월 31일까지 마쳤다. 정호용 전 특전사령관도 지난해 8월 29일 두번째 서면 진술서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.<br /><br />조사위는 진압 작전 문서 기안자, 작전 장교와 보안사 관련 군인 25명에 대한 조사 등을 마무리 한 뒤 &nbsp;활동 종료 기한인 오는 12월까지 종합보고서를 펴낼 방침이다.<br /><br />원문보기:&nbsp;https://newsis.com/view/?id=NISX20230228_0002209814&amp;cID=10809&amp;pID=10800
국가정보자원관리원 서버 재기동 점검에 따라 5·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홈페이지 서비스 단절을 아래와 같이 공지드립니다.<br /><br />○ 중단사유 :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서버 재기동 점검<br />○ 중단기간 : 2023. 3. 23.(목) 19:00 ~ 23:00<br />○ 중단범위 : 5·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홈페이지 전체
「김광동 진실화해위원장의 5·18 발언 관련 5·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입장」 보도자료
2023.03
27
제80차 전원위원회 회의
위원회 서울,광주사무소
전원위원회 안건 심의 및 의결
13
제79차 전원위원회 회의
2023.02
제78차 전원위원회 회의